경제/주알못의 경제공부 / / 2025. 3. 26. 23:42

[주알못의 경제 공부]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란? (feat. 왜 다들 ISA 하래? 주알못이 정리해 본 절세 통장 핵심 정리)

300x250

 



안녕하세요. 주알못 대표 주자로 경제 공부중입니다!

오늘은 투자를 시작하는 초보자라면 꼭 알아야 할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 대해 쉽고 자세히 정리해볼까한다. 앞으로 주식 막 시작할 때 다들 추천하는 ISA, 연금저축펀드(연저펀), IRP도 공부하면서 포스팅해 볼 예정!

목차

  1. ISA란?
  2. ISA 가입 유형과 차이점
  3. ISA의 세 가지 유형 비교 (신탁형 vs 일임형 vs 중개형)
  4. ISA를 활용하면 좋은 이유 (세금 혜택)
  5. ISA로 해외투자할 때 얻는 혜택
  6. 최근 논란된 ISA 이중과세 문제 정리
  7. ISA, 연금저축펀드(연저펀), IRP의 차이점은?
  8. ISA 추천 증권사 및 수수료 비교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란?

ISA는 간단히 말해 예금, 펀드, ETF, 주식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관리할 수 있는 계좌로 다양한 상품을 편하게 관리하면서 절세 효과까지 누릴 수 있는 '투자 종합통장'이라고 할 수 있다.
 


ISA 가입 유형과 차이점

ISA는 가입자의 소득 조건에 따라 서민형일반형으로 구분된다

  • 서민형 ISA: 전년도 총급여 5천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3,800만 원 이하일 경우 가입 가능하며, 비과세 한도가 최대 400만 원으로 세금 혜택이 많다.
  • 일반형 ISA: 소득 제한 없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나, 비과세 한도가 최대 200만 원

조건이 된다면 꼭 서민형으로 가입하는 걸 추천하고 일반형으로 가입했다면 가입 증권사에 서류 제출로 변경 가능하니 참고할 것


ISA의 세 가지 유형 비교 (신탁형 vs 일임형 vs 중개형)

ISA는 운영 방식에 따라 신탁형, 일임형, 중개형으로 나뉜다.

구분신탁형일임형중개형
운영방식금융사가 상품 선택 후 대신 매매금융사가 자산 운용을 전담 (전문가 운용)본인이 직접 ETF, 주식 등을 매매
수수료약 0.2% 신탁보수 발생연 0.5~1% 일임 수수료 발생매매 수수료만 발생 (가장 저렴)
추천대상안정적으로 투자하고 싶은 사람투자 지식이 부족하거나 관리할 시간이 없는 사람주식이나 ETF를 직접 거래하고 싶은 사람

 
최근 가장 인기가 많은 유형은 수수료가 가장 저렴한 중개형 ISA


ISA를 활용하면 좋은 이유 (세금 혜택)

ISA를 꼭 만들어야 하는 이유는 바로 다양한 세금 혜택 때문

  • 비과세: 서민형은 400만 원, 일반형은 200만 원까지 비과세 (세금 0%)
  • 저율과세(분리과세): 비과세 한도 초과분도 9.9%의 낮은 세율로 과세
  • 과세이연 효과: ISA에선 투자기간 동안 세금이 부과되지 않고, 만기 또는 인출 시점에 한 번에 세금 부과로 복리효과 극대화 가능
  • 손익통산 혜택: ISA 내 여러 상품의 손익을 합산해 순이익에만 세금 부과

ISA로 해외투자할 때 얻는 혜택 (해외주식 ETF 추천 이유)

ISA 계좌를 활용하면 해외 투자 시에도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일반 계좌로 해외 배당금을 받을 때 약 15.4% 세금을 내지만, ISA 계좌에서는 이중과세가 방지되어 최대 9.9%로 제한된다. 
많은 사람들이 ISA에서 국내 주식보다 해외 주식을 더 많이 추천하는 이유는 해외 주식의 배당 소득이 국내 주식 대비 더 큰 절세 효과가 있기 때문! 
 


최근 논란된 ISA 이중과세 문제 정리

최근 ISA 관련해 해외투자 시 이중과세 논란이 있었다. 기존에는 해외에서 낸 세금을 국내에서 바로 환급받았지만, 2025년부터는 즉시 환급 대신 '세금 크레딧' 방식으로 변경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ISA의 주요 장점 중 하나인 과세이연이 변경 됐다는 점인데  발생한 세금은 만기 시점에 한 번에 정산하는 구조는 동일하나 외국에 미리 낸 세금을 바로 환급해주는 게 아니라, 만기 때 세금을 계산할 때 공제해주는 방식으로 바꼈다.
 
예를 들어, 미국 ETF에 투자해 배당소득 100만 원을 얻었다고 가정하면,

  • 미국에서 먼저 15% 원천징수 = 15만 원 세금을 냄
  • 기존에는 이 15만 원을 국내에서 바로 환급받을 수 있었음
  • 변경 후엔 이 15만 원을 환급받지 않고, ISA 만기 시 국내 세금 계산 시 크레딧으로 적용돼서 추가 세금이 안 나오도록 조정

즉, 당장 현금이 들어오진 않지만 최종적으로는 이중과세를 피할 수 있도록 구조가 변경되긴했다. 그런데 뭐가 문제야? 라고 한다면.. 배당 투자 중심으로 한 투자자들은 불리해졌다는 것!
 
⚠️  기존 복리효과 장점이 없어짐

  • 현금 흐름 지연: 해외 세금 환급을 당장 받지 못하고 만기까지 기다려야 해서, 단기적으로는 불리하게 느껴질 수 있음
  • 복리효과 둔화 가능성: 환급받은 금액을 즉시 재투자할 수 없기 때문에, 복리 효과가 약해짐
  • 세제 혜택 체감 시점이 늦어짐: 원래는 해마다 세금 환급이 있어 체감이 빨랐는데, 크레딧 방식은 만기까지 기다려야 체감 가능

결론적으로, 과세이연 혜택은 유지되지만 즉시환급 → 크레딧 전환으로 인해 단기적인 유동성이나 체감 측면에서는 다소 불리해졌고 ISA에 가장 큰 장점인 복리 효과가 사라졌다(배당주의 경우 배당금 재투자 불가). 실제로 ISA로 복리 효과를 기대하던 배당주 투자주 분들은 크게 피해보셨을 듯
 


 ISA 추천 증권사 및 수수료 비교

중개형 ISA는 증권사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쉽게 가입할 수 있다.

증권사수수료 혜택특징
토스증권이벤트 기간 거의 무료초보 투자자에게 가장 쉬운 사용성
카카오페이증권최대 0.003% 수준으로 낮은 수수료카카오톡 연동으로 간편한 투자
키움증권0.003% 이벤트 적용 시풍부한 투자 정보 제공

 
수수료와 편의성을 잘 고려해서 증권사를 선택하면 좋은데, 나는 그냥 냅다 비교 안하고 삼성증권에다 해버렸다 ㅋㅋㅋ 늘 수수료는 변동되는 듯 하니 찾아보고 비교해보는게 좋을 듯
 
총 정리를 하자면, 세제혜택에 효과는 있지만 복리효과는 사라졌다. 내! 생각! 에는!  ISA에서는 배당주 투자말고 성장 지수나 나스닥 기반으로 투자하는게 날 듯함.
 
그럼 이만! 주알못을 벗어 날 그날까지! 파이팅!!!
 
#ISA #연금저축펀드 #IRP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중개형ISA #서민형ISA #ISA가입방법 #절세통장 #해외투자 #경제초보 #초보투자자 #ISA수수료비교 #주알못 #경제공부 #투자팁

300x250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